2023년 예산현황
예산규모 : 791,953백만원 (일반회계 : 780,595 / 특별회계 : 11,358)
한눈에 보는 예산(단위: 억원)
![]() |
![]() |
세입예산
( 단위 : 백만원 )
구분 | 계 | 구성비 | 일반회계 | 특별회계 | |||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예산액 | 구성비 | 예산액 | 구성비 | |||||
합계 | 791,953 | 100 | 780,595 | 100 | 11,358 | 100 | ||
지방세수입 | 116,884 | 14.8 | 116,884 | 15.0 | - | - | ||
세외수입 | 44,394 | 5.6 | 39,336 | 5.0 | 5,058 | 45.7 | ||
경상적세외수입 | 36,605 | 4.6 | 33,746 | 4.3 | 2,859 | 25.9 | ||
임시적세외수입 | 5,163 | 0.6 | 4,463 | 0.6 | 700 | 6.3 | ||
지방행정제재·부과금 | 2,626 | 0.4 | 1,127 | 0.1 | 1,499 | 13.6 | ||
지방교부세 | 22,226 | 2.8 | 22,226 | 2.8 | - | - | ||
조정교부금등 | 191,237 | 24.1 | 191,237 | 24.5 | - | - | ||
보 조 금 | 371,768 | 46.9 | 370,992 | 47.5 | 776 | 7.0 | ||
국고보조금등 | 251,931 | 31.8 | 251,592 | 32.2 | 339 | 3.1 | ||
시·도비보조금등 | 119,837 | 15.1 | 119,400 | 15.3 | 437 | 4.0 | ||
보전수입등 및 내부거래 | 45,444 | 5.8 | 39,920 | 5.2 | 5,524 | 47.2 |
세출예산
( 단위 : 백만원 )
구분 | 2023년 | 2022년 | 증감액 | 증감률 | ||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예산액 | 구성비 | 예산액 | 구성비 | ||||
합계 | 791,953 | 100 | 739,201 | 100 | 52,752 | 7.14 | |
일반공공행정 | 67,666 | 8.54 | 71,952 | 9.73 | △4,286 | △5.96 | |
공공질서및안전 | 1,418 | 0.18 | 1,399 | 0.19 | 19 | 1.38 | |
교육 | 14,584 | 1.84 | 15,431 | 2.09 | △846 | △5.49 | |
문화및관광 | 25,182 | 3.18 | 19,440 | 2.63 | 5,742 | 29.54 | |
환경 | 25,360 | 3.20 | 24,340 | 3.29 | 1,020 | 4.19 | |
사회복지 | 434,444 | 54.86 | 393,730 | 53.26 | 40,714 | 10.34 | |
보건 | 17,073 | 2.16 | 21,105 | 2.86 | △4,032 | △19.11 | |
농림해양수산 | 764 | 0.10 | 838 | 0.11 | △74 | △8.87 | |
산업·중소기업및에너지 | 5,137 | 0.65 | 3,522 | 0.48 | 1,615 | 45.85 | |
교통및물류 | 28,778 | 3.63 | 26,520 | 3.59 | 2,258 | 8.51 | |
국토및지역개발 | 22,838 | 2.88 | 21,829 | 2.95 | 1,008 | 4.62 | |
예비비 | 14,990 | 1.89 | 10,262 | 1.39 | 4,728 | 46.07 | |
기타 | 133,719 | 16.88 | 128,834 | 17.43 | 4,885 | 3.79 |
지역재정의 현황
세입 여견
- (지방세) 코로나19 이후 소비심리 회복에 따른 경제 여건 개선으로 지방세 수입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며, 국토교통부 및 행정안전부의 부동산 공시가격 현실화 계획에 따라 주택·토지의 공시가격이 꾸준히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어 이에 따른 재산세 세입 증가는 지속될 것으로 전망
- (세외수입)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로 공공시설의 사용료 수입 증가, 시세징수교부금 수입 증가 등으로 세외수입은 소폭 증가할 것으로 전망
- (의존재원) 부동산보유세 완화에 따른 종합부동산세 감소로 인하여 지방교부세는 감소할 것으로 보이며, 국시비 보조의 경우 대상 사업별 차이는 있으나 전반적으로 복지정책 확대로 매년 증가할 것으로 전망
세출 여건
- 공공부문 고용 촉진, 공공·사회부문 청년 일자리 확대(생활임금 적용), 감염병 및 폭우·폭염 등 재난사항 적기대응에 따른 재정 수요 증가
- 사회 전반의 양극화 완화를 위한 복지사업 확대로 매칭 사업비 증가, 약자와의 동행 사업 및 구민 생애주기별 맞춤형 복지지원체계 구축 등으로 복지예산 증가
- 지역경제 활력 회복, 주민 생활안전 지원, 주민의 문화욕구 충족 등 주민 체감형 사업의 수요 지속
- 공공요금 등 경직성 경비는 물가 인상 영향으로 소폭 증가 전망
지역재정의 문제점
자체 사업추진 예산확보를 위한 노력 필요
- (재정자립도) 19.36% (※2022년도 당초예산 기준)
자체세입이 적고 이전재원의 비중이 커 재정자립도가 낮은 편임. - (재정자주도) 49.36% (※2022년도 당초예산 기준)
코로나19 대응을 위한 지방교부세와 조정교부금 등의 비중이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어 최근 5년 재정자주도는 증가 추세 - (통합재정수지) 자체 세입은 대부분 시설이용료, 행정제재금 등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그동안 코로나19 영향으로 증가율에 한계가 있었던 반면, 지출의 경우는 소상공인 지원, 재난·안전관리 예산 증액으로 급격하게 늘어나 통합재정수지가 다소 악화되었음.
- 세수 증대를 위한 노력과 국·시비 보조사업의 보조율 인상 요구 등 자체 사업추진 예산확보를 위한 구의 적극적인 노력 필요
재무건전성 개선의 필요
- 인건비 및 운영비 비중이 2020년 38.36%에서 2021년 42.10%으로 높아졌으나, 자체조달수익의 비중은 2020년 15.22%에서 2021년 16.95%로 소폭 상승하는 데 그치고 있음.
- 이는 경직성 경비의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세외수입 등 자체수입 증대에 노력을 더 기울여야 하며, 인력 채용 및 신규시설 확보 시 고정비를 최대한 억제하는 자구책 필요
자료담당부서
- 자료담당부서
기획예산과 한유진
- TEL
02-2091-2605
- 최종수정일
2023-02-06