돌봄SOS 돌봄위기가구 지원 강화   좋아요 아이콘

644
1695
0
2025.05.20
사업유형
신규 계속 보완 공약
사업계획
미수립 수립중 수립완료
예산현황
국비 시비 구비 비예산
추진현황
추진중 완료(종결) 완료후지속추진 공정률
95%
담당부서 복지정책과
복지정책과(과장) 이유신
돌봄지원팀(팀장) 이현정
담당주무관 한송희
담당 전화번호 02-2091-3032

사업개요

○ 사업기간: 2025. 1. ~ 12.
○ 사업대상: 긴급하고 일시적인 돌봄이 필요한 구민
○ 사업내용
- 5대 긴급 돌봄(일시재가, 단기시설, 동행지원, 주거편의, 식사배달) 제공 및 중장기돌봄(안부확인, 건강지원, 돌봄제도, 사례관리, 긴급지원) 연계
- 돌봄서비스 제공을 위한 탄탄한 자원 확보 및 협력체계 구축
- 민ㆍ관 거버넌스 구성 및 운영을 통한 사업추진 내실화
- 양질의 서비스 제공을 위한 역량강화 교육 및 서비스 모니터링
- 간호직 돌봄매니저 특화 건강돌봄서비스
- 낙상예방을 위한 돌봄안심지원
- 돌봄SOS 특화 방문형 운동처방서비스

주요추진경과

○2020년 8월~12월: 구 단위 선행사업 추진, 6대 돌봄서비스(일시재가,단기시설,동행지원,주거편의,식사지원,정보제공)
○2021년 1월~ 7월: 전 동 확대 본사업 추진, 8대 돌봄서비스(6대돌봄,안부확인,건강지원)
○2021년 8월~: 서비스 체계 조정, 5대돌봄서비스(일시재가,단기시설,동행지원,주거편의,식사지원)+5대중장기돌봄연계(안부확인,건강지원,돌봄제도연계,사례관리연계,긴급지원연계)
○2022년 7월: 5대 긴급돌봄서비스 제공기관 업무협약(총 27개소)
○2022년 10~11월: 위기가구 발굴 위한 업무협약(도봉구의사회, 도봉구한의사회, 국민건강보험공단, 관내 의료기관 4개소)
○2023년 4월: 주거편의서비스(방역) 제공기관 세스코 업무협약
○2023년 3월~8월: 돌봄서비스 품질향상을 위한 제공기관 모니터링 실시(일시재가 제공인력 근태관리, 식사제공기관 위생점검, 도시락배달 모니터링)
○2023년 8월~: 돌봄SOS 서비스 강화를 위한 간호직 돌봄매니저 특화업무(건강면접조사, 예방적돌봄안내) 추진
○2023년(1월~12월) 추진실적
- 상담접수: 2,280명
- 서비스 제공: 3,986건(일시재가 716건, 단기시설 3건, 동행지원 502건, 주거편의 562건, 식사배달 1,063건, 중장기돌봄연계 1,140건)
○2024년 2월: 간호직 돌봄매니저 특화업무 실질적인 수행을 위한 의료기기(혈압계, 혈당측정기 등) 배부로 건강면접 조사 실시
○2024년 4월: 돌봄안심지원을 위한 낙상예방용품(미끄럼방지매트 등) 지원
○2024년 7월: 5대 돌봄서비스 제공기관 업무협약(총 25개소)
○2024년(1월~12월) 추진실적
- 상담접수: 2,531명- 서비스 제공: 4,927건(일시재가 788건, 단기시설 9건, 동행지원 718건, 주거편의 372건, 식사배달 1,143건, 중
장기돌봄연계 1,897건)
- 건강돌봄서비스(건강면접조사,예방적 돌봄안내): 1,422건
○2025년 2월: 돌봄매니저 교육 및 간담회
○2025년 3월~5월: 5대 서비스 제공기관 모니터링
○2025년 5월: 돌봄SOS 특화 방문형 운동처방서비스 운영
○2025년(1월~5월) 추진실적
- 상담접수: 536명
- 서비스 제공: 1,218건(일시재가 200건, 단기시설 4건, 동행지원 318건, 주거편의 90건, 식사배달 277건, 중장기돌봄연계 335건)

향후계획

○2025년 6월: 민·관 거버넌스 상반기 정례회 운영, 돌봄매니저 간담회, 돌봄안심지원을 위한 낙상예방용품(미끄럼방지매트 등) 배부
○2025년 7~8월: 돌봄서비스 품질향상을 위한 식사배달 제공기관 모니터링
○2025년 9월: 민·관 거버넌스 하반기 정례회 운영
○2025년 11월: 성과나눔공유회(돌봄매니저, 제공기관) 워크숍
○2025년 6월~12월 : 지역사회 및 유관기관 사업 홍보, 돌봄SOS 소통회의(돌봄매니저, 제공기관)
자료담당부서 해당부서 TEL 02-2091-2120
TEL 02-2091-2120
최종수정일 2025.05.20

홈페이지 정보가 도움이 되셨습니까?

의견남기기 바로가기